목차
7월호【종합】뉴스레터
스타트업 지원의 성과를 정리한 「IPAS2023 사례집」
스타트업이란 새로운 기술이나 아이디어로 비즈니스를 진행하려는 기업을 말한다. 특허청은 2018년도부터 IP Acceleration program for Startups(IPAS)를 실시해 2023년까지 6년간 104개사를 지원해 왔으며, 지난 6년간의 지원 성과와 6개 사례, 더욱 창업기 의 지원으로 밝혀진 지재 전략 구축에 있어서의 6개의 포인트 등을 해설한 사례집을 작성해 공개하고 있다.
사례집에 공개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IPAS의 전체 이미지와 IPAS 탄생의 배경이되는 과제
- IPAS 멘토링을 받은 4가지 효과
- 대표적인 6사 IPAS 지원 스타트업 지원 사례
- 스타트업 업계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지식인의 칼럼
- IPAS 지원으로 보여 온 지재 전략 책정에 있어서의 6개의 포인트
스타트업용 시책에 대해서
특허청은 스타트업을 위한 각종 시책을 마련하고 있다. 아래에 그 몇 가지를 소개한다.
(1) 지재 가속 프로그램
지재 전략 구축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구체적인 실행으로 옮기지 못하고 무엇부터 시작해야할지 모르겠다는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지재나 비즈니스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를 포함한 지재 멘토링 팀을 일정 기간 파견하여 스타트업의 비즈니스에 대응한 적절한 지재 전략에 의한 사업의 가속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 벤처 캐피탈에 지재 전문가 파견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벤처 캐피탈 (VC)에 변리사 · 변호사와 같은 지재 전문가를 파견하여 VC를 통한 스타트 업에 지재 전략 구축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파견된 전문가가 VC와 협동하여 투자 전 및 투자 후의 스타트업에 대하여 사업 전략에 연동한 지재 전략 구축 등의 지원을 실시함으로써 스타트업의 성장을 가속한다.
(3) 스타트업 대응 면접 활용 조기 심사·슈퍼 조기 심사
①면접 활용 조기 심사
심사청구후에 1차심사결과의 통지 전에 담당심사관과 면접을 할 수 있다. 면접에서는 심사관에게 직접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으며, 온라인 면접도 가능하다. 조기심사와 마찬가지로 조기에 심사결과를 얻을 수 있다.
②슈퍼 조기 심사
조기심사보다 더 조기에 최종처분을 얻을 수 있다. 덧붙여 면접 활용 조기 심사도 슈퍼 조기 심사도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
(4) 스타트업에 대한 푸시형 지원(PASS)
지금까지는, 스타트업 대응 면접 활용 조기 심사를 희망할 때, 「조기 심사에 관한 사정 설명서」의 제출이 필요했지만, PASS에 근거하는 특허청으로부터의 연락을 받은 출원인은, 사정 설명서 를 제출하지 않아도 이용의 희망을 특허청 측에 전화로 전하는 등의 간이적인 절차에 의해 조기심사를 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을 개발했지만, 이것을 사업화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고민하고 있는 기업은 특허권이나 상표권 등 지적재산권 취득을 포함한 다양한 지원이 받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꼭 특허청이 실시하고 있는 지원 시책의 이용을 검토해 보길 바란다.
AI는 발명가가 될 수 있습니까?
2024년 5월 16일, AI는 발명자가 될 수 있을까 하는 쟁점에서 출원인과 특허청이 싸운 재판으로, 도쿄 지방 법원은 「발명자는 자연인에 한정된다」라고 하는 판결을 전했다(령 화 5년(행우) 제5001호).
원고는 국제출원의 국내서면에서 발명자의 이름으로 "다바스, 본 발명을 자율적으로 발명한 인공지능"이라고 기재했다. 이에 대해 특허청장관은 원고에 대해 발명자의 성명으로 자연인의 성명을 기재하도록 보정을 명했지만 원고가 보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출원을 각하하는 처분을 했다. 원고는 이 처분을 불복으로 처분의 취소를 요구했다.
판결은, 「지적재산 기본법은, (중략) 발명이란, 자연인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해하는 것이 상당」이라고 판단했다. 또, 부언으로서, “우리나라에서 입법론으로서 AI발명에 관한 검토를 실시해 가급적 신속하게 그 결론을 얻는 것이, AI발명에 관한 산업 정책상의 중요성을 감안해, 특히 기대되고 있다”라고도 지적 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출원은 세계 각국에서 행해져, 미국, 영국, 한국 등에서도 「발명자는 인간에 한정된다」라고 판결이 내려지고 있다. 이러한 판단이 세계의 주류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AI의 발명자 적격성에 대한 논의와는 다르지만, 미국특허상표청(USPTO)은 AI의 지원을 받은 발명(AI-assisted invention)에 대해 출원인이나 USPTO 심사관을 위한 지침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AI를 이용하여 발명을 한 사람에게 발명자 적격성이 인정되는가 하는 관점의 가이던스이며, 이것도 또한 흥미롭다.
Newsletter translated into English
“IPAS 2023 Collection of Cases” Presents Results of Startup Support
Startups are companies that aim to advance their business with new technologies and ideas. The Japan Patent Office has been implementing the IP Acceleration Program for Startups (IPAS) since 2018, and by 2023 had supported 104 companies over the span of six years. has prepared and published a collection of cases explaining the results of these six years of support, including case studies of the six companies as well as six key points in building an IP strategy that became clear from the support provided during the initial .
The main content published in the collection of cases is as follows:
- An overview of IPAS and the issues behind the creation of IPAS
- Four benefits of receiving IPAS mentoring
- Six examples of IPAS-supported startups
- Columns by experts with extensive knowledge of the startup industry
- Six key points in IP strategy formulation revealed through IPAS support
Policies for Startups
The JPO has prepared various measures for startups. Some of these are introduced below.
(1) IP Acceleration Program
This program is designed for startups that feel the need to develop an IP strategy but have yet to implement it or do not know where to start. The program supports startups in accelerating their business through appropriate IP strategies tailored to their business by dispatch limited time, mentoring teams that include IP and business experts from various fields.
(2) Program to dispatch IP experts to venture capital firms
This program dispatches IP experts, such as patent attorneys and lawyers, to venture capital (VC) firms to support startups in developing IP strategies through VCs. The dispatched experts work with the VCs to support the startups before and after investment by helping the strategies that are linked to their business strategies, thereby accelerating their growth.
(3) Accelerated examination utilizing startup-specific interviews and super accelerated examination
(i) Accelerated examination utilizing interviews
An interview with the examiner in charge of a case can be conducted after the filing of the request for examination and before the issuance of the first examination result. In the interview,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invention can be explained directly to the examiner, and online interviews are possible. As with accelerated examination, the results of examination can be obtained at an early stage.
(ii) Super accelerated examin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final disposition even earlier than under accelerated examination. Note that both accelerated examination utilizing interviews and super accelerated examination can be applied for free of charge.
(4) Push-type Assistance Service for Startups (PASS)
Previously, a “written explanation of the needs of the accelerated examination” had to be submitted for requesting accelerated examination utilizing startup-specific interviews. However, applicants who are contacted by the JPO based on the PASS will be able to obtainacce a written explanation, through a simple procedure such as a telephone call to the JPO to inform them of the applicant's wish to use the interview service.
As described above, companies that have developed a new technology or product but are wondering how to commercialize it may be eligible for a variety of assistances, including assistance regarding the acquisi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patents and trade using the support measures provided by the JPO.
Can AI be an Inventor?
On May 16, 2024, in a dispute between the applicant and the Patent Office over whether AI can be an inventor, the Tokyo District Court ruled that “inventors are limited to natural persons” (Case No. 2023 (Gyo-U) No. 5001).
In the filing document for the national entry of an international application, the plaintiff stated as the name of the inventor as “DABUS, the invention was autonomously generated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sponse, the Commissioner of the Patent Office ordered the plaintiff to amend the application to state the name of a natural person as the inventor's name, but the plaintiff failed to do so, and the Commissioner of the Patent Office rejected the application. The plaintiff was dissatisfied with this disposition and sought cancellation of the disposition.
The court decision concluded that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Intellectual Property Basic Act (omitted) provides that an invention is one that is created by a natural person”. As an addendum, the court also noted that “it is particularly hoped that Japan examines AI inventions as an argument for new legislation and reaches a conclusion as soon as possible,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AI inventions for industrial policies.
Applications for this invention have been filed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judgments have been issued in the US, the UK,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stating that “inventors must be human beings”. It is expected that such judgments will the norm throughout the world.
Also, although different from the discussion of AI inventor eligibility, the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USPTO) has issued guidance for applicants and USPTO examiners on AI-assisted inventions. This guidance is from the perspective of whether an for inventor eligibility, which is another interesting que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