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장 제도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디자인의 출원 도면과 그림 작성

디자인 신청 도면 및 다이어그램 작성

(1) 의장 도면이란?

이 기사에서는, 「의장 도면」에 대한 지혜와 정보를 메인으로, 여러분에게 상세하게 전하겠습니다.

(1-1) 설계 도면과 디자인 도면

앞으로 제조·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해서는, 우선 설계 도면을 작성해, 그 설계 도면대로 제품을 제조합니다. 한편, 그 제품에 걸리는 의장에 대해서 의장 등록하고 싶은 경우에는, 의장 도면을 작성해, 의장 도면을 첨부한 원서를 특허청에 출원합니다. 설계도면과 디자인도면, 어느 도면도 원칙, JIS규격에 근거하여 작성합니다.

그렇다면 디자인 도면은 설계 도면과 동일한 도면일 수 있습니까? 뭔가 다른 곳이 있습니까?

말할 필요도 없이, 설계도는 제품을 정확하게 제조하기 위해 작성된 도면이며, 제품의 각부의 치수나 마무리 상태 등의 정보를 제조 관계자에게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도면입니다. 설계도가 이와 같이 정확하게 작성되고 있다면, 설계 도면을 그대로 디자인 도면에 이용해도 좋다고 생각하네요.

그런데 의장도면은 의장등록을 받기 위해 특허청의 심사관에 의해 심사되어 등록된 경우 의장권의 권리범위를 나타내는 권리증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디자인 드로잉을 만들 때 디자인 드로잉에 없는 많은 유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따라서 디자인 도면을 작성할 때에는 아래에 설명하는 사항에 유의한 후 설계 도면 등을 변경하여 디자인 도면을 작성합니다.

(1-2) 심사의 대상

위에서 언급했듯이 디자인 도면은 특허청의 심사관에 의해 심사됩니다. 의장 도면은 JIS 규격 외, 특허청 발행의 「의장 등록 출원의 원서 및 도면 등의 기재의 안내」(이후 「문서」라고 한다)나, 의장법 시행 규칙 등에 의해, 작성 방법이 세세하게 정해져 있습니다 .

따라서 특허청이 정하는 방법에 따라 디자인 도면을 작성해야 합니다. 디자인 도면이 이 방법으로 작성되지 않은 경우, 심사에서 디자인 신청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 도면은 제품이 입체라도 기본, 6방향에서 본 면·외관을 나타내는 그림(육면도)으로 나타냅니다.
또, 의장 도면은 중심선을 기입하거나, 단면선을 특정하는 문자 등을 그림에 겹쳐 기입해서는 안됩니다. 중심선이나 문자 등이, 그 제품의 모양인지, 혹은 중심선이나 단면선을 특정하는 문자등인지 혼동되기 때문입니다.
여담입니다만, 이전에는 도면의 심사는 상당히 엄격하고, 거절되는 의장 출원 중, 도면의 부정합 등이 원인으로 거절되는 것이 매우 많았습니다. 디자인 출원으로, 우선 어려운 것은 도면의 작성,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심사는 엄격했습니다만, 최근, 이전과 비교해 꽤 완만해지고 있습니다.

(1-3) 의장권의 권리증

또한 디자인 드로잉은 디자인 등록 후 권리 증서 역할을 담당합니다. 예를 들면, 토지의 권리증의 경우, 권리자가 소유하는 토지의 면적이나, 타인의 토지와의 경계를 알 수 있도록 기재되어 있군요. 의장도면도 원서의 기재사항과 함께 의장권의 권리범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육면도의 각 도면의 무결성이 취해지지 않아 각 그림에 모순이 있거나, 그림에 나타나지 않는 부분이 있거나, 육면도에서 특정할 수 있는 입체적인 제품의 디자인이 이런 디자인 어쩌면 이런 것일지도 모르는 등 하나의 디자인을 도출할 수 없는 경우 권리 범위에 의의가 생깁니다.

또 부분 의장의 경우, 예를 들면, 파선과 실선의 구별이 불명료, 또는 각 그림에 부정합 등이 있는 경우, 의장 등록을 받으려고 하는 부분과 그 외의 부분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게 됩니다. 이것으로는 의장권의 권리 범위가 불명료하네요.

(1-4) 의장의 포인트를 어필

디자인 등록을 받고자 하는 제품의 경우, 그 제품에 특유의 형상 등, 지금까지 없었던 신규 형상이 있을까 생각합니다. 만약, 그 의장의 포인트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 눈에 띄지 않고, 모처럼 디자이너가 힘을 넣어 창작한 부분이 묻혀 버리는 듯한 도면이면, 실망하네요.

그러한 제품의 창작 포인트를 심사관이나 경쟁사에게 어필할 수 있는 도면이 보다 좋은 의장 도면이며, 심사·권리 행사에도 유리한 도면이라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소에서는 이러한 디자인의 포인트를 충분히 이해하고 디자인의 포인트를 어필할 수 있는 도면을 경험이 풍부한 스탭이 작성합니다.

(2) 필요 도면과 참고 도면

의장의 구성 요소만을 그린 도면으로, 물품의 형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도면을 필요도, 형상 등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나 사용 상태도 등으로서, 의장을 구성하지 않는 선 등을 그려 추가한 그림을 참고도라고 합니다. 참고도는, 【○○참고도】등으로 표시해, 필요도와 구별합니다.

참고도에, 필요도와 다른 형상이 나타나고 있는 경우, 해당 형상은 디자인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에 유의해 주십시오.

(3) 육면도 (정투영도의 제삼각법에 의한)

각 도면 동일 축척으로 작성해,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 중, 의장 등록을 받고자 하는 의장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충분한 수의 그림을 만들기.

(3-1) 제삼각법

2개의 투영면을 직행시켜 공간을 만들고, 각각을 제1각에서 제4각의 4개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제3각에 물체를 두고 작도하는 방법을 제삼각법이라고 합니다.

(3-2) 육면도

(4) 단면도

단면도에 따라 육면도 등의 외관도에서는 나타내기 어려운 제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디자인에서는,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물품의 내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권리화할 수 없기 때문에, 주로 육면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오목이나 구멍의 형상 등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5) 사진 · CG

예를 들면, 봉제인형 등과 같이, 표면의 질감이 도면에서는 나타내기 어려운 물품에 대해서는, 물품의 사진이나 CG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육면도와 마찬가지로 6 방향에서 본 사진이나 CG를 동일 축척으로 작성합니다.

당소의 그래픽 디자인부에서 의장 출원용의 사진 촬영이 가능합니다. 디자인 출원에 최적인 촬영·가공을 하겠습니다.

덧붙여 사진이나 CG로 의장 출원했을 경우, 선도로부터 의장의 권리 범위가 좁아질 가능성이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디자인 출원에 대한 상담은 부담없이お 問 合 せ フ ォ ー ム방문하십시오.

관련 기사

TOP